디앱 스테이킹 v3 파라미터 조정을 통한 아스타 생태계 성장
아스타 재단 대표 마튼 핸스켄스(Maarten Henskens)는 아스타 콜렉티브 (Astar Collective)의 주요 추진자 중 한 명으로서, 디앱 스테이킹과 관련하여 추가 논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프로포절은 디앱 스테이킹 v3를 개선하기 위해 제기된 여러 변경 사항 및 커뮤니티 내에서 심도 있는 논의를 거친 후 진행되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프로포절에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https://forum.astar.network/t/dapp-staking-astar-foundation-proposal-next-steps/7950
아스타 콜렉티브 (Astar Collective) 란? 아스타 콜렉티브는 아스타 네트워크의 다양한 구성원들이 모여, 네트워크의 발전과 거버넌스, 그리고 생태계 내 다양한 프로젝트와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협력하는 커뮤니티입니다. 아스타 재단과 함께 아스타 네트워크를 보다 혁신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 협력하고 있습니다.
관련 프로포절 스레드
- “디앱 스테이킹” 재정의
- 디앱스테이킹 보상 변경 이 프로포절은 디앱 스테이킹과 관련된 추가 논의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며, 커뮤니티 참여 규칙을 준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아스타팀의 최우선 목표는 장기적인 미래를 위한 핵심 기능을 향상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미 여러 스레드에서 충분히 다루어진 과거의 문제에 대한 논의는 이번 논의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진행된 사항
1. 디앱 스테이킹 행동 강령 디앱 스테이킹 시스템은 아스타 커뮤니티 내에서 수년간 운영되어 왔습니다. 그동안 많은 프로젝트들이 이 시스템을 활용해 왔으나, 여러 문제점들이 제기되었고,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이에 따라 커뮤니티 평의회는 아스타 생태계의 성장을 위해 기본 사항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견고한 프레임워크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습니다. 이 행동 강령은 아스타 콜렉티브의 비전에 부합하도록 작성되었습니다. 전체 프로포절은 여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스테이킹된 자산 이동 기능 현재 커뮤니티에서는 보너스 리워드를 잃지 않고, 스테이킹된 자산을 한 디앱에서 다른 디앱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현 구조에서는 스테이커가 자산 이동시 이득이 없고 오직 손실만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에 인센티브가 전혀 제공되지 않습니다. 이 문제는 깃허브에서 논의되었으며, 현재 초안 PR 형태로 추가 개발 중입니다. 구현 일정(런타임 업그레이드 포함)은 다음 투표기간 동안 진행될 예정이며,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해 주십시오.
3. 디앱 사이클 마케팅 추진 디앱 스테이킹의 장점을 부각하고, 다가오는 업그레이드 소식을 함께 강조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그러나 아스타 토크노믹스 관련 콘텐츠는 외부 커뮤니티나 신규 홀더들을 위한 유용한 자료가 배포되어야 하기에, 토크노믹스 자체가 흥미로운 뉴스로 다뤄지기는 어렵습니다. 또한, 미디어에서는 단순 토크노믹스 소식을 크게 다루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아래와 같은 전략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 신규 홀더 및 커뮤니티의 원활한 온보딩을 돕기 위해, 토크노믹스를 보다 직관적이고 명확한 언어로 설명하는 블로그 포스트(1차 자료)와 연구 논문(3자 자료)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합니다.
- 아스타 관련 좋은 소식이 있을 때에는 PR, 미디어, KOL 채널을 통해 소식을 전파하고, 기존의 토크노믹스 프라이머 및 연구 논문 등을 활용해 생생한 임팩트를 전달합니다. (예: 연구 논문은 여기에서 확인 가능)
- 현재도 이 분야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향후 더 많은 자원과 예산을 투입할 계획입니다. 디앱 스테이킹 참여자를 늘리고 시장에서 ASTR의 락업을 강화하여, 단기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은 최소화하면서 장기적이고 생태계에 기여하는 ASTR 홀더 기반을 확충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기타 진행 사항 앞으로도 더 많은 중앙화 거래소(CEX)가 스테이킹 대시보드에 디앱 스테이킹을 연동할 수 있도록 컨택 중에 있습니다. 바이낸스는 이미 훌륭한 파트너로 활동 중이지만, 다른 CEX로 확장하는 데는 아직 어려움이 있으며 아스타 팀은 지속적인 노력 중에 있습니다.
배경 정보
장단기적으로 무엇을 바꿀 수 있을지, 어떤 변화를 도입해야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에 대해, 우리는 현실적인 범위 내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래는 디앱 스테이킹을 재설계하는 과정에서 v1과 v3 버전이 어떻게 구축되었는지에 대한 간략한 과정입니다.
- [2022–11] — v3 개념 구상 시작
- [2023–01] — 아스타 커뮤니티와 디자인 스케치 공유: dApp Staking v3 — 제안서
- [2023–04] — 아스타 토크노믹스를 전면 재검토하며 v3 구현: Reconsidering Astar’s Token Economics
- [2023–04] — 토크노믹스 전문가를 프로젝트에 참여시키고 예산 배정을 완료하며, MVP Workshop과 파트너십 체결
- [2023–08] — 아스타의 새로운 토크노믹스 2.0에 관한 완전한 연구 및 디자인 결과물 공개: Astar Tokenomics 2.0: A Dynamically Adjusted Inflation (전체 벤치마크 보고서 포함, 여기에서 확인 가능)
- [2023–09] — 기술적 구현 시작
- [2023–12] — 테스트넷 배포 및 감사 시작
- [2024–01] — SRLabs에 의한 감사 완료 (감사 보고서 있음)
- [2024–02] — 파라미터 설정 후 아스타와 샤이든 에 배포
전체 프로세스는 1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이는 아스타 재단 및 엔지니어링 팀이 체계적인 접근을 위해 충분한 시간과 자원을 투입한 결과입니다. 아스타 재단은 초창기부터 기여한 만큼 아스타의 비전과 설계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으며, 강력한 토대를 가진 독창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아스타 콜렉티브의 일부로서 아스타 재단은 디앱 스테이킹 v3의 기본 구조 변경 대신 파라미터 조정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스타 재단 제안
아스타 재단은 새로운 런타임 콜인 set_static_tier_params를 도입하고자 합니다. 이 콜은 루트 전용 권한(시스템의 최고 관리자만이 안전한 시스템 관리를 위해 설정할 수 있는 특별한 권한)으로 작동하며, 이를 통해 모든 파라미터가 온체인 거버넌스 투표를 통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모든 변경 가능한 값의 출처는 dApp Staking 파라미터 | Welcome to Asta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추가 논의가 필요한 변경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보상 분배 전체 보상 금액 중 각 티어에 할당되는 비율을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전체 디앱 보상 풀의 25%가 티어 1에 할당되는 식의 형태입니다.이때, 할당 비율의 합이 100% 미만일 수도 있으며, 100%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일부 보상이 소각되는 효과가 발생합니다. 또한, 디앱이 해당 티어 내에서 더 많은 지지를 받을수록 티어 보상을 최대 2배까지 받을 수 있는 랭크 보상이 적용됩니다. 2. 슬롯 비율 각 티어에 할당되는 슬롯의 비율을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전체 슬롯 수의 5%가 티어 1에 할당되는 방식입니다.슬롯 비율의 합이 100% 미만일 경우, 이는 전체 용량을 줄여 슬롯 수가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3. 티어 임계값 각 티어에 진입하기 위한 기준을, 전체 발행량 대비 일정 비율로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티어 1의 경우 디앱에서 전체 발행량의 3.57%에서 2.38% 사이를 스테이킹해야 합니다. 보다 자세한 공식은 dApp Staking v3 기술 개요 | Welcome to Astar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추가 옵션으로, 현재 아스타에서는 0.05달러 기준으로 100 슬롯으로 정해진 기본 슬롯 수를 계산하는 공식을 변경할 수 있도록 고려하고 있습니다. 현재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number_of_slotsAstar=⌊1000×ASTR_USD+50⌋\text{number_of\slots}{\text{Astar}} = \lfloor 1000 \times ASTR_USD + 50 \rfloor 이 공식은 단순한 선형 방정식(y = ax + b)이므로, 앞서 언급한 콜을 통해 상수 a와 b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논의 중에 있습니다. 최근 커뮤니티 논의의 목표에 따라 생태계 성장에 부합하는 인플레이션 구조를 개편하고, 인플레이션 압력을 낮추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향후 진행 계획
아스타 재단은 이번 제안을 통해 커뮤니티에서 제시한 접근 방식에 동의하는지, 아스타 콜렉티브 내 다른 제안들을 기다려야 하는지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습니다. 아스타 재단은 자체 관점만 고집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여 아스타 네트워크와 ASTR 토큰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합니다. 만약 커뮤니티에서 현재 방향보다 다른 방법이 더 나은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제안을 최대한 지원하겠습니다.
면책 조항
본 논의는 디앱 스테이킹 V3의 파라미터 조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V4 제안, V2로의 회귀, 또는 디앱 스테이킹의 핵심 아키텍처 변경에 관한 내용은 포함하지 않습니다. 피드백과 제안은 V3 파라미터 최적화에 국한해 주시고, V3의 전체 구조나 타당성에 관한 폭넓은 논의는 별도의 주제로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