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ar NetworkAstar Network

아스타 (L1)— 소니움 (L2) 관계성 그리고 아스타 토큰의 역할 (Jan 31)

아스타 네트워크는 소니움 L2의 출시를 완료하고 본격적인 생태계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아스타 (L1)와 소니움 (L2)의 협력 방식 및 ASTR 토큰의 중심적 역할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스타 L1 : 기반 구조

아스타 L1은 폴카닷 기반으로 구축되어 EVM과 WASM 모두를 지원하는 다중 가상머신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원하는 블록체인에서 개발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주요 특징

  • dApp 스테이킹: 커뮤니티는 “dApp 스테이킹” 이라는 경제적 인센티브 철학을 기반으로 다수로 분산화된 생태계 참가자의 의사결정 메커니즘을 통하여,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 거버넌스: 마찬가지로 분산화된 의사결정자 시스템을 통해, 이해관계자가 네트워크의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XCM 상호운용성: 폴카닷 생태계 내 타 패러체인들과 원활하게 연결됩니다.

아스타 L1은 확장성과 적응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 개발자와 사용자간의 수요와 공급에 따른 혁신을 만들어내기 위한 기반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소니움 L2 : 엔터테인먼트 레이어

소니움 L2는 이더리움 상에서 OP Stack을 활용하여 구축되었습니다. 아스타 L1이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의 기반을 제공한다면, 소니움 L2는 엔터테인먼트와 소비자 중심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이더리움의 보안성을 계승하고 확장성을 접목시키는 소니움 L2는 고속 / 저비용 트랜잭션을 위한 환경에 힘입어 차세대 dApp 개발을 지원하기위한 레이어입니다.

두 생태계의 물리적 연결

아스타 L1과 소니움 L2는 레이어제로 (LayerZero)와 체인링크 (Chainlink)와 같이 기존에 검증된 커뮤니케이션 레이어를 적극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연결됩니다. 이와같은 솔루션으로부터, 두 레이어 간의 자산과 데이터 이동을 원활하게 합니다.

$ASTR : 생태계의 핵심

두 연결된 생태계 상에서, ASTR 토큰은 아스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생태계에서 중추 역할을 수행합니다.

아스타 L1에서의 역할

  • 네트워크 트랜잭션 수수료 토큰 (가스비)으로 사용
  • 네트워크 방향성을 결정하는 거버넌스 참여의 수단
  • 스테이킹 의사결정을 통한 참여형 생태계 가치 순환의 촉진

소니움 L2에서의 역할

  • 컨슈머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한 동력 제공
  • DeFi 및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LST) 인프라의 핵심 요소
  • 플랫폼 간 결제 솔루션으로서의 활용

소니움 L2의 출시는 아스타 생태계의 새로운 시작점입니다. L1과 L2를 연결하는 아스타의 기술력과 ASTR의 중심적 역할은 DeFi 및 유동성 인프라의 구축으로부터 시작하여 컨슈머 엔터테인먼트까지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는 글로벌 생태계 구축의 토대로서 만들어나갈 것입니다.

아스타와 소니움이 함께 본 블록체인 산업에 가져올 새로운 기회에 대해 깊이 있게 살펴나갈 수 있도록, 기반 구조 시스템의 최적화부터 디파이 및 유동성 인프라의 구축에 이어 컨슈머 애플리케이션의 전개까지 다방면에 걸친 정보를 커뮤니티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Astar Network Team

Astar serves as the gateway for projects across enterprise, entertainment, and gaming to enter Japan and beyond. Driving global adoption of web3 to millions with an ecosystem powered by Polkadot and Polygon as the industry-leading blockchain for the Japan market.